6화 👶 그리고 이런 저런 이야기_엄마의 몸, 이유식의 세계, 후회 아닌 후회
👩🦰엄마의 몸: 수술 부위와 산후풍
자연분만이냐 제왕절개냐. 모든 엄마가 가장 고민하는 선택 중 하나일 것이다. 옛날에는 선택지가 자연분만 뿐이었기에 출산하다가 유명을 달리하는 경우도 많았다. 그런데 다행히 수술이라는 선택지가 생긴 것이다. 그런데 선택지가 생긴 순간 고민이 시작되는 것. (물론 고민 없이 한 쪽을 선택하는 사람도 많다.) 개인적으로는 자연분만을 하고 싶었다. 자연주의까지는 도전하지 못하더라도 내 몸에 자연스러운 걸 더 원했다. 또, 수년 전 라섹 수술을 하며 몸에 더 이상 칼을 대지 않겠다고 다짐했던 터였다. 그런데 진통이 시작되고, 9시간 정도 지났을까 담당 선생님이 수술을 권유하시는 것이었다. 아기가 내려오지 않아 둘 다 위험해질 수도 있다고 말씀하셨다. 그렇게 예상치 못하게 수술하게 되었다.
자연분만의 최대 장점은 산모의 컨디션 회복이 빠르다는 것. 그걸 여실히 느낄 만큼 제왕절개를 한 내 몸은 매우 천천히 회복되었다. 출산 당일은 아무리 페인 버스터를 꾹꾹 눌러도 고통이 쉽사리 경감되지 않았다. 다리는 또 왜 이렇게 무겁게 느껴지는지 그 무게를 지탱하는 발꿈치가 너무 아파 새벽 내내 남편에게 발목을 돌려달라고 부탁했다. 다리에 힘을 주기가 무서웠다. 원체 겁이 많은 나는 배에 힘을 주면 수술 부위가 다 터져 속에 있는 것들이 쏟아져 나올 것만 같았다. 시간이 지나면서 수술 부위는 어찌어찌 아물었다. 아물고 나서도 켈로이드성 피부 증상 때문에 한동안 패치를 붙이고 있어야 했다. 출산한 지 몇 년이 지났지만, 아직도 수술 부위를 포함한 근처 부위의 감각이 없는 것 같다.
또 나는 한여름에 출산했기 때문에 에어컨이 없이는 살 수가 없었다. 원래 그렇게 땀이 많이 나는 체질이 아니었는데 그때는 그렇게 땀나고 더웠다. 더구나 우리 아기는 태열을 심하게 겪고 있었기에 우리 집은 한겨울처럼 추워야 했다. 열이 많은 남편도 옷을 주섬주섬 껴입었다. 내 몸을 생각할 겨를은 없었다. 그렇게 산후풍을 맞이했다. 엄마의 조언을 받아들여 보약을 지어 먹었지만 소용없었다. 출산 후 검사 때 산부인과 담당 선생님께 한약에 대해 말씀드렸더니 조소를 보이셨다. 선생님께서는 수술 부위가 덧날 수 있으니 체온을 높이지 말고 시원하게 지내라고 하셨다. 그때 내 몸 상태를 면밀히 살펴볼 사람은 나 자신밖에 없다는 걸 알게 되었다. 하지만 이미 벌어질 대로 벌어진 것처럼 느껴지는 손가락 마디마디와 발가락 마디마디는 어떻게 해도 돌아올 생각을 않는다. 그냥 출산 후 후유증이라고 받아들일 수밖에. 조리원에 방문하시는 한의사 선생님께서 첫째를 낳고 온 산후풍은 둘째를 낳으면 없어진다고 하셨었는데… 조소를 머금게 된다.
🥗 이유식의 세계: 잘 먹는 아이의 아이주도 이유식
이유식을 만들어 먹이면서 칼질이 정말 많이 늘었다. 이 사실이 매일매일 이유식을 얼마큼 만들어 댔는지를 방증한다. 지금 생각해보면 물론 우리 아기의 건강을 위해서이기도 했지만, 육아휴직 중인 엄마가 매일 작게나마 느낄 수 있는 성취감이었달까. 더구나 뭐든지 만들어주는 대로 잘 먹었던 우리 아기의 모습을 보며 하루하루를 뿌듯하게 보냈던 것 같다. 처음부터 아이주도 이유식을 시도했던 건 아니다. 쌀미음, 채소 미음을 시도해보며 이것저거서 검색하던 중 알게 된 아이주도 이유식은 정말 도전할 만하게 매력적이었다. 쫓아다니면서 먹일 필요 없이 스스로 잘 먹게 된다는 것이다. 그렇게 약 6개월간의 이유식 제조가 시작되었다.
필요한 건 각종 레시피. 너덜너덜할 정도로 봤던 이유식 책. 그리고 콜록콜록 목에 걸려 기침하는 아이를 믿어주는 믿음. 온 사방에 던져지는 음식물을 매끼 청소해야 하는 인내심 등이다. 아이가 첫 번째 낮잠에 들면 숨 돌릴 틈 없이 빠르게 이유식을 조리했다. 요리라고는 각종 볶음밥과 파스타 정도만 해 본 나였는데 어느새 채소를 썰 때 탁탁탁탁 규칙적인 소리를 낼 만큼 발전했다. 이유식은 간을 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도 있어 맛에 대한 부담은 그리 없었다. 다만, 아이도 사람인지라 같은 메뉴는 지양하라는 책의 지침을 따르려고 노력하며 ‘점심-저녁-아침’을 한 세트로 매일 다른 메뉴를 선보이려고 노력했다.
그런데 여기에는 비화가 있다. 먼저 그렇게 스스로 잘 먹던 아기는 내가 복직하고 할머니에게 맡겨지자 이내 아기새처럼 입을 벌리고 기다리는 아이가 되었다. 할머니의 사랑으로 할머니 주도의 식사로 습관을 바꾸었다. 또, 채소를 잘 먹지 않는 아이가 되었다. 어른도 꺼리는 비트까지 먹는 아이였는데… 미각이 발달하는 시기인 건지 어린이집에 다니게 되면서 이것저것 맛있는 걸 경험하게 되어 맛있는 것만 먹고 싶어 하는 건지 모르겠다. 언젠가 이유식 때 먹었던 음식의 맛을 기억하며 잘 먹는 아이로 돌아오기를 기다릴 수밖에…
😒 후회까지는 아니더라도 그랬으면 어땠을까 생각했던 것들: 제왕절개를 하지 않았다면? / 육아서, 영상을 미리 찾아봤다면? / 산후조리원을 가지 않았다면?
먼저, 아이의 피부가 문제를 일으킬 때마다 종종 제왕절개를 하지 않았다면 좀 낫지 않았을까 이런 생각이 든다. 여름에 태어난 우리 아이는 태열로 무척 고생했더랬다. 빨갛게 진물이 나는 아이의 피부를 봤을 때, 의사 선생님께서 태열을 겪는 아이는 50%의 확률로 아토피가 생길 수도 있다고 말씀하셨을 때, 그리고 지금 아토피까지는 아니더라도 피부가 매우 건조해 특히 환절기마다 긁기 시작해 피부에 딱쟁이가 생길 때 등이다.
그다음으로는 육아서나 영상을 미리 찾아보고 아이의 발달 시기에 대해 공부를 좀 했으면 어땠을까. 스펙터클한 임신 기간을 겪었던 나는 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있었고 그나마 준비할 수 있었던 건 육아용품들 뿐이었다. 육아용품은 또 어찌나 많은지 결혼 준비를 엑셀 시트로 했을 때보다 수배는 더 알아봐야 할 것, 선택해야 할 것이 많았다. 그러나 막상 아이를 낳고 보니 그런 것들보다도 아이가 아플 때 대처 방법, 아이가 자라면서 체크해야 할 발달 사항 등이 훨씬 중요했다. 아이가 아플 때마다 내가 왜 의사가 되지 않았을까, 라는 말도 안되는 후회를 하기 전에 좀 더 미리 공부해서 의연하게 대처했으면 어땠을까.
마지막으로 산후조리원에 가지 않았던 게 더 낫지 않았을까 싶다. 나와 남편은 조리원에서 정해진 모자동실 시간을 한참 넘겨서 아이를 다시 신생아실로 데려다 놓곤 했다. 백색 형광등 아래 플라스틱 바구니에 쪼르르 놓여있는 아이들, 세상에 태어나 덩그러니 그 안에 놓인 우리 아기를 볼 때면 남편과 나는 괜스레 찡해졌다. 모유 수유의 성공을 위해 매 수유콜에 응답했고 아이에게 젖을 물리려 수유실로 갔다. (조리원의 가장 큰 수혜자는 남편이라고 생각한다.) 큰돈을 들이면서 아이도 편한 마음으로 온전히 맡기지 못했던 것이다. 산후조리원은 모든 산모가 계약하니 나는 으레 가야 하는 건 줄로만 알았다. 하지만 이제는 안다. 산후조리원에 가지 않는 선택지도 있다는 것을.
이 모든 후회 아닌 후회들은 모두 자신의 불안에서 기인하고 있다. 아직 미약한 우리 아이가 나의 선택으로 인해 어딘가 잘못되는 것은 아닐까 하는 그런 불안 말이다. 하지만 아이를 키우다 보니 아이는 내 불안이 아닌 믿음을 먹고 자라는 것 같다. 새벽마다 깨는 횟수가 네다섯 번에서 서너 번으로, 이내 한 번으로 줄어들고 마침내 해낸 분리 수면은 이를 해내지 못할 것 같은 불안감을 내 마음 깊숙이 넣어두고 우리 아기를 끝까지 믿고 시도한 결과다. 또, 어린이집 선생님이 이제는 기저귀 떼기를 시도해야 할 때라고 말씀하셨을 때 나는 우리 아기가 그렇게 쉽게 기저귀를 뗄 거라 예상치 못했다. 아이는 한 달 정도 화나서 울 때의 실수를 제외하고는 방수 매트를 3개나 사놓은 게 무색할 만큼 밤 기저귀도 한 번에 떼버렸다.
그리고 대망의 손 빨기. 태어난 지 200일 남짓한 즈음부터 빨기 시작한 엄지는 나를 안을 때, 그리고 잠자리에 들 때면 자동으로 입에 들어가곤 했다. 엄지에 바르는 쓴맛 약을 최후의 보루로 남겨 놓고 있을 때였다. 아이와 나는 노력에 대한 이야기를 나눴다. 아빠가 요즘 야근을 하시지만, 우리 가족을 위해 노력하시는 거다, 네가 기저귀를 떼고 옷을 스스로 입을 수 있을 때까지 노력한 것처럼. 그 이야기를 한 날, 아이는 처음으로 엄지를 빨지 않고 잠들었다. 초보 엄마로 이런 경험치들이 쌓이다 보니 아이가 무언가를 못 할까봐 불안해하기보다, 그리고 무언가를 하지 못해 후회하기보다는 오히려 그 시간에 조금 더 응원해주는 게 낫다고 말하고 싶다. 그래서 오늘도 우리 아이의 작은 성장을 응원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앰버서더에게 응원 및 소감글 작성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