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학습 루틴 만들기

안녕하세요. 23개월 아기를 키우고 있는 ‘엄마랑 학교공부’의 박혜림앰버서더입니다. 바람은 차가워지고, 해는 바뀌어가는 지금은, 초등학생들이 방학을 기다리는 시기이기도 한데요,. 대개 12월 20여일 이후로 겨울 방학을 시작하죠. 설레는 마음이 먼저겠지만, 많은 아이들은 겨울방학기간에 더 많은 학원스케줄을 소화하는데요. 더 많은 학원 스케줄을 소화하면서 그 학습량을 자기것을 만들어내는 아이들도 있지만, 안타깝게도 그 모든 것이 단지 스케줄 소화에 그치는 경우도 많죠. 우리 아이가 학습을 잘 하고 있다고 생각이 들면 참 다행이지만, 그렇지못한 경우 답답한 마음과 불안이 엄마 마음속에 올라옵니다. ‘아이를 닥달한다고 해결될 문제도 아닌 것 같고, 그렇다고 학원을 안보낼 수도 없는 것이고, 보낸다고 아이가 잘 공부하고 오는 것 같지도 않아서, 돈은 돈대로 아깝고, 저축은 저축대로 되어가는게 없는것 같고’ 이런 현실적인 듯 막연한 불안이 끊임없이 엄마들 마음속에서 올라오기도 합니다.

자, 걱정이 올라오거든, 심호흡 한번 하고, 후우 후우~~ 불안의 실타래를 차근 차근 감아 볼까요? 엄마표 학교공부라고 해서 아이의 모든 학교 과목을 엄마랑 공부하는 것일까요? 그렇지 않아요. 엄마도 할 일이 있고, 아이도 아이가 스스로 해야하는 영역이 있잖아요. 무엇보다 엄마가 떠먹여주는 공부를 하자고 엄마표 학교 공부를 하는게 아니니, 아이가 스스로 자신의 시간, 할일, 체력, 마음 등을 관리 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해서 엄마표 학교공부하는거라고 믿어요. 그러니! 학원에 보낸 우리 아이! 잘 적응하고, 제대로 학습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 그것 또한 엄마표 학교공부라고 할 수 있죠.

아이가 제대로 잘 못하는 것 같아서 답답할 때, 우리는 무엇부터 해야할까요?

가장 첫 번째는, ‘내 기준준대로 아이를 재단하지 않기’라고 할 수 있어요. 엄마의 기준으로 보면, 우리 아이는 맨날 놀기만 바라는 것 같고, 뺀질대고, 아무 생각 없어보이고, 맘에 안들고 그럴 수 있어요. 이 기준으로만 본다면 안타깝게도, 우리 아이는 그저 한심한 아이가 되어버리죠? 그러니 ‘아이의 행동에는 아이만의 그럴 만한 이유가 있다’고 생각하는게 중요해요. 그 마음을 갖고 아이를 관찰하고 아이의 이야기를 잘 들어주는 것. 그것에서 문제해결의 시작이 일어날거에요.

내 불안은 내가 만들어낸 허상일 가능성이 매우 커요. 우리가 하는 걱정의 대부분은 일어나지 않을 가능성이 80퍼센트라는 말을 들은 적이 있어요. 그러니 걱정과 불안이 스멀스멀 올라올 때에는, 내 문제라는 것을 인식하고, 마음부터 다스려야 해요.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지금 로그인해보세요!
맘블리 회원가입 시 비타민 2개 무료 증정!
로그인 하러 가기

375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앰버서더에게 응원 및 소감글 작성해주세요!

공개 예정 콘텐츠, 놓치지 말아요!
엄마성장
육아맘, 인스타 수익화 방법 5가지
김보람 앰버서더
2023.09.25 공개예정
엄마성장
육아맘, 지식창업 수익화 5가지
김보람 앰버서더
2023.10.02 공개예정
엄마성장
디지털노마드맘, 시작전 체크리스트!
맘블리 앰버서더
2023.10.09 공개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