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23개월 아기를 키우고 있는 ‘엄마랑 학교공부’의 박혜림앰버서더입니다. 바람은 차가워지고, 해는 바뀌어가는 지금은, 초등학생들이 방학을 기다리는 시기이기도 한데요,. 대개 12월 20여일 이후로 겨울 방학을 시작하죠. 설레는 마음이 먼저겠지만, 많은 아이들은 겨울방학기간에 더 많은 학원스케줄을 소화하는데요. 더 많은 학원 스케줄을 소화하면서 그 학습량을 자기것을 만들어내는 아이들도 있지만, 안타깝게도 그 모든 것이 단지 스케줄 소화에 그치는 경우도 많죠. 우리 아이가 학습을 잘 하고 있다고 생각이 들면 참 다행이지만, 그렇지못한 경우 답답한 마음과 불안이 엄마 마음속에 올라옵니다. ‘아이를 닥달한다고 해결될 문제도 아닌 것 같고, 그렇다고 학원을 안보낼 수도 없는 것이고, 보낸다고 아이가 잘 공부하고 오는 것 같지도 않아서, 돈은 돈대로 아깝고, 저축은 저축대로 되어가는게 없는것 같고’ 이런 현실적인 듯 막연한 불안이 끊임없이 엄마들 마음속에서 올라오기도 합니다.
자, 걱정이 올라오거든, 심호흡 한번 하고, 후우 후우~~ 불안의 실타래를 차근 차근 감아 볼까요? 엄마표 학교공부라고 해서 아이의 모든 학교 과목을 엄마랑 공부하는 것일까요? 그렇지 않아요. 엄마도 할 일이 있고, 아이도 아이가 스스로 해야하는 영역이 있잖아요. 무엇보다 엄마가 떠먹여주는 공부를 하자고 엄마표 학교 공부를 하는게 아니니, 아이가 스스로 자신의 시간, 할일, 체력, 마음 등을 관리 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해서 엄마표 학교공부하는거라고 믿어요. 그러니! 학원에 보낸 우리 아이! 잘 적응하고, 제대로 학습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 그것 또한 엄마표 학교공부라고 할 수 있죠.
아이가 제대로 잘 못하는 것 같아서 답답할 때, 우리는 무엇부터 해야할까요?
가장 첫 번째는, ‘내 기준준대로 아이를 재단하지 않기’라고 할 수 있어요. 엄마의 기준으로 보면, 우리 아이는 맨날 놀기만 바라는 것 같고, 뺀질대고, 아무 생각 없어보이고, 맘에 안들고 그럴 수 있어요. 이 기준으로만 본다면 안타깝게도, 우리 아이는 그저 한심한 아이가 되어버리죠? 그러니 ‘아이의 행동에는 아이만의 그럴 만한 이유가 있다’고 생각하는게 중요해요. 그 마음을 갖고 아이를 관찰하고 아이의 이야기를 잘 들어주는 것. 그것에서 문제해결의 시작이 일어날거에요.
내 불안은 내가 만들어낸 허상일 가능성이 매우 커요. 우리가 하는 걱정의 대부분은 일어나지 않을 가능성이 80퍼센트라는 말을 들은 적이 있어요. 그러니 걱정과 불안이 스멀스멀 올라올 때에는, 내 문제라는 것을 인식하고, 마음부터 다스려야 해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앰버서더에게 응원 및 소감글 작성해주세요!